2025 글로벌 콘텐츠 컨퍼런스
AI와 Short-form: 내일을 디자인하다
연사 및 사회자 소개

미국 런웨이 프로덕트 디자이너
샤론 리 Sharon Dayoung Lee
AI 세션 ㅣ 09:00-09:30 ㅣ AI는 방송 제작 환경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서울 출신으로 현재 브루클린에 거주하며 런웨이(Runway)에서 생성형 AI 경험을 디자인하는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다. 0에서 1로의 제품 개발(0→1 product development)을 전문으로 하며, 복잡한 머신러닝 모델을 창작자들을 위한 직관적인 도구로 변환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또 Gen-2, Act-One, Lip Sync 프로젝트를 통해 기술 혁신을 매끄러운 스토리텔링 워크플로우로 전환하는 작업에 주력하고 있다.

MBC C&I 스마트미디어팀 팀장
이상욱 Sangwook Lee
AI 세션 ㅣ 10:30 - 10:50 ㅣ Case Study 1: AI, 영상 장르로서의 가능성
MBC C&I의 AIXR 콘텐츠팀의 팀장으로 재직 중에 있으며, AI콘텐츠랩을 통해 AI와 미디어 콘텐츠 제작 융합을 선도하고 있다. AI콘텐츠랩은 다수의 AI 기반 영화 프로젝트를 기획 및 제작하였고, 이들 작품은 국제 AI 영화제에서 수상하고, 국내 및 해외 OTT 채널에 서비스 중에 있다.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AI실감미디어콘텐츠학과 외래교수로 참여하고 있으며, AI를 활용한 스토리텔링과 AI 실감콘텐츠 창작관련 다양한 연구를 통해 영화, 방송 현업인들 대상 교육 프로그램에도 참여하고 있다. MBC C&I는 방송 및 영상 콘텐츠 산업 분야에서 AI 기반 상용화를 이끄는 선도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미래를 개척하고 있다.

Dost11 대표
양효걸 Hyogeol Yang
AI 세션 ㅣ 10:50 - 11:10 ㅣ Case Study 2: 방송 제작 과정에서의 효율적인 AI 활용
MBC의 AI전략자회사 도스트일레븐의 대표를 맡고 있다. AI indexing, AI cinematic CG, AI dubbing, 방송 아카이브를 활용한 시니어 인지 중재 콘텐츠 개발 등의 사업을 수행 중이다. 10년 이상의 방송기자 경험과 방송 도메인의 전문성 등을 살려 AI 기술을 방송 현장에 접목하는 시도를 이어나가고 있다.

크레이지 메이플 스튜디오 부사장
난 야펑 Yapeng Nan
Short-form 세션 ㅣ 14:30 - 15:00 ㅣ 글로벌 숏폼 플랫폼 전략 : 릴숏
난야펑이 몸 담고 있는 크레이지 메이플 스튜디오는 창의성과 기술을 결합하여 독자, 게이머, 스토리 애호가들에게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하는 글로벌 디지털 스토리텔링 선도 기업이다. 그는 시카고대학교에서 MBA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시장에서 처음으로 출시된 숏드라마 앱 '릴숏'(ReelShort)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릴숏 이전에는 회사의 게임 제품인 Chapters와 웹소설 플랫폼 My Fiction의 개발에 참여한 바 있다.

틱톡 코리아 운영총괄 / 바이트댄스유한책임회사 대표
정재훈 Jaehoon Jung
Short-form 세션 ㅣ 15:00 - 15:30 ㅣ 글로벌 숏폼 플랫폼 전략 : 틱톡
틱톡코리아 운영총괄이자 바이트댄스유한책임회사 한국 대표로서 한국에서 틱톡 플랫폼의 시장 전략을 수립하고 크리에이터 생태계 확장하며 콘텐츠 파트너십을 총괄하고 있다. 2022년부터 틱톡에서 근무하면서, 틱톡을 국내 최고의 트렌드 발원지이자 한국 문화를 세계에 전파하는 교두보로 성장시키는데 큰 역할을 했다. 틱톡 이전에는 구글/유튜브에서 약 10년간 근무하며 유튜브 키즈를 한국에 출시했고,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비롯한 K-pop발전에 공헌했으며, 국내 패밀리·러닝 크리에이터 커뮤니티를 세계 2위 규모로 성장시켰다. 미국 다트머스대 턱 경영대학원 MBA를 보유하고 있으며, 프로덕트 인사이트, 비즈니스 개발, 리더십을 바탕으로 차세대 크리에이터를 육성하고 한국 디지털 콘텐츠 경제의 세계적 성장을 이끌고 있다.

와이낫미디어 대표
이민석 Minseok Lee
Short-form 세션 ㅣ 15:30 - 16:00 ㅣ Case Study : 숏폼 제작과 비즈니스 - 와이낫미디어
대한민국 웹드라마 산업을 초창기부터 키워온 (주)와이낫미디어 대표이사 이민석이다. 주요 숏폼 드라마 및 미드폼 드라마 작품인 <전지적 짝사랑 시점>, <일진에게 찍혔을 때>, <청담국제고등학교>를 제작했고 2020년 대한민국 콘텐츠 대상 해외진출유공(문체부 장관상) 표창을 받았다.

하이브미디어코프 대표
김원국 Wonkuk Kim
특별 세션 ㅣ 13:30 - 14:30 ㅣ 스토리, 경계를 넘다: 플랫폼을 초월한 이야기의 힘
2014년 제작사 ‘하이브미디어코프’를 설립, 청소년 관람불가영화 역대 최고 스코어를 기록한 창립작 <내부자들>을 시작으로 <곤지암>, <남산의 부장들>,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 <핸섬가이즈> 등의 작품을 기획, 제작했다. 2023년 개봉해 천만 관객을 돌파한 <서울의 봄>으로 청룡영화상 최우수작품상과 백상예술대상 작품상을 수상하는가 하면, 2024년 개봉한 <하얼빈>은 백상예술대상 작품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다양한 작품으로 관객과 평단 모두를 사로잡은 그는 2025년 하반기에도 영화 <보스>를 비롯해 시리즈 [메이드 인 코리아], 드라마 [착한 사나이] 등의 작품 공개를 앞두고 있다.

미디어연구소 bLanC
조영신 Youngshin Cho
moderator ㅣ AI 세션
조영신 박사는 미디어연구소 bLanC의 대표이자, 동국대학교의 대우 교수를 겸하고 있다. 현 방송학회 <AI 영상산업정책 특별위원회>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이전에는 SK 브로드밴드 경영전략그룹장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애프터넷플릭스>, <AI와 레거시 콘텐츠 사업자의 변화> 등이 있다.

MOst267
홍석우 Seokwoo Hong
moderator ㅣ 특별 토론 세션
MBC 콘텐츠자회사인 MOst267에서 EP(Exacutive Producer)로 드라마 기획/제작일을 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인류학과를 졸업하고 2008년 MBC에 편성PD로 입사하여 드라마본부 소속 EP로 근무했다. 현재 한국PD연합회에서 사무처장을 맡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MBC 드라마 <수사반장1958>(2024), <연인>(2023), <검은태양>(2021), <꼰대인턴>(2020) 등이 있고, 책임프로듀서로 기획을 총괄하였다.

SBS
도준우 Junwoo Doh
moderator ㅣ Short-form 세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2008년 SBS 예능본부 PD로 입사한 뒤 교양본부, 디지털 콘텐츠 제작 스튜디오를 거쳐 현재 <SBS 스페셜>에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고 있다. <그것이 알고싶다>, <지선씨네마인드>, <짝> 등의 TV 프로그램을 연출하며 2016, 2017년 한국PD대상 올해의 PD상을 수상했다. <그알 유튜브 채널>에서 다양한 디지털 오리지널 콘텐츠를 기획, 연출하며 2022년 한국방송대상 뉴미디어프로그램제작 부문, 2024년 한국PD대상 디지털콘텐츠 부문에서 수상했다. 저서로는 2024년 발간된 <스릴 너머>가 있다.

흥업미디어
김경찬 Kyungchan Kim
panelist ㅣ 특별 토론
1995년 목포MBC PD로 입사해서 다수의 교양 정보 프로그램과 10여 편의 다큐멘터리를 연출했고, 2009년부터 방송 및 인터넷 콘텐츠를 제작하는 독립 TV 프로덕션을 경영했으며, 2015년 영화 산업에 진출하여 시나리오 작가로서 영화 '카트', '1987', '하얼빈' 등 8편의 각본을 담당했다. 2024년 영화 '하이재킹'을 제작하여 영화 각본가 겸 제작자로 활동 중이다.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김경일 Kyungil Kim
초청강연 ㅣ PD 전국대회 ㅣ PD의 심리와 회복 - 창작과 감정 사이에서
"한국의 대표적인 인지심리학자. 현재 아주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려대학교 심리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한 후 미국 텍사스 주립대학교 심리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지심리학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아트 마크먼 교수의 지도하에 인간의 판단, 의사결정, 문제해결 그리고 창의성에 관해 연구했다. 수많은 기관과 기업에서 왕성하게 강연 활동을 하고 있으며, 〈어쩌다 어른〉〈세바시〉 〈요즘책방:책 읽어드립니다〉 등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해 대중과 소통했다. 유쾌하고 신선한 강의로 수많은 사람을 매혹시키고 있는 그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학자들의 논문과 실험을 우리의 삶과 연결시켜 쉽게 전달하는 데 애쓰고 있다. 저서로는 『김경일의 지혜로운 인간생활』 『적절한 좌절』(공저) 『내향인 개인주의자 그리고 회사원』(공저) 『마음의 지혜』 『적정한 삶』 등이 있다."